아야어여오요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아야어여오요

  • 분류 전체보기 N
    • K8S N
      • argocd
      • ecosystem
      • istio
      • cilium
      • 🔥 network study🔥 N
      • network
      • issue
    • AWS
      • issue
    • LN
      • Go
      • Rust
    • CS
      • network
      • eBPF
      • wasm
    • k-stack
    • 메모
    • 토키워크
  • 홈
  • 태그
  • 방명록
  • github
Kubernetes Controller에서 Owns와 Watches의 차이점

Kubernetes Controller에서 Owns와 Watches의 차이점

Kubernetes 컨트롤러를 개발할 때 Owns와 Watches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개념은 컨트롤러가 특정 리소스를 어떻게 감시하고 반응할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Owns와 Watches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언제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Owns란Owns는 컨트롤러가 직접 생성한 리소스를 감시할 때 사용됩니다. 즉, 컨트롤러가 특정 리소스를 생성하고, 그 리소스에 변경이 생길 때 이를 감지하여 다시 조정(Reconcile)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Owns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해당 리소스의 OwnerReference가 설정됩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는 해당 리소스의 변경 사항을 감지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예제 코..

  • format_list_bulleted K8S/ecosystem
  • · 2024. 10. 25.
  • textsms
Operator 개발: 컨트롤러 동작방식 이해하기

Operator 개발: 컨트롤러 동작방식 이해하기

커스텀 컨트롤러를 개발할일이 가끔가다 생기는데 이번에 새로 커스텀 컨트롤러로 개발해보고싶은게 생겼습니다. 만들어보기 전에 컨트롤러 동작방식 대해 살펴보고 개발을 해볼까 합니다. 오늘은 컨트롤러의 동작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글 입니다. 오퍼레이터 패턴이란오퍼레이터 패턴, 혹은 오퍼레이터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동화된 로직을 의미합니다. 즉,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가 있을 때, 이 둘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것이 오퍼레이터의 역할입니다. 운영자가 수동으로 하던 작업을 코드로 자동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의 백업과 복구 작업을 오퍼레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CNCF 프로젝트에서는 오퍼레이터 패턴에 대한 백서를 제공하며..

  • format_list_bulleted K8S/ecosystem
  • · 2024. 10. 14.
  • textsms
kind: 다른 네트워크 대역의 클러스터 2개 만들기

kind: 다른 네트워크 대역의 클러스터 2개 만들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관련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하다 보면 네트워크 대역이 다른 두 개의 클러스터가 필요할 때가 있다.단순히 파드나 서비스 대역이 다른 것이 아닌, 노드 대역을 다르게 설정하려면 Docker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대역이 달라야 한다.Docker 컨테이너 네트워크 생성green 클러스터를 위한 네트워크 브리지를 하나 생성한다.docker network create --subnet=172.18.0.0/16 green-net 이번에는 다른 클러스터를 위한 blue 네트워크 브리지를 생성한다.docker network create --subnet=172.19.0.0/16 blue-net  생성 후 확인하면 브리지 네트워크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green 클러스터 생성하기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실..

  • format_list_bulleted K8S/ecosystem
  • · 2024. 10. 5.
  • textsms

쿠버네티스 Metric Server 설치 및 확인 방법

Metric Server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자원 사용량(CPU, 메모리 등)을 수집해주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나 kubectl top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Metric Serv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는 Metric Server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Metric Server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설치 여부 확인Metric Server가 클러스터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대한 실시간 자원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kubectl top nodes 결과 -  Metric Ser..

  • format_list_bulleted K8S/ecosystem
  • · 2024. 9. 24.
  • textsms
Kubernetes KEDA: 이벤트 기반 자동 확장 플랫폼

Kubernetes KEDA: 이벤트 기반 자동 확장 플랫폼

지난 AWSKRUG 플랫폼엔지니어링 밋업에서 소개받은 KEDA에 대해 설명해볼까 합니다. 쿠버네티스에는 Auto Scaling을 위한 Horizontal Pod Autoscaling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본적인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는 CPU나 메모리 사용량만을 기준으로 확장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KEDA(Kubernetes Event-driven Autoscaling)입니다.  KEDA란?KEDA는 Kubernetes에 이벤트 기반 확장 기능을 추가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KEDA는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를 이벤트 매개 변수에 따라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 format_list_bulleted K8S/ecosystem
  • · 2024. 9. 2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N
    • K8S N
      • argocd
      • ecosystem
      • istio
      • cilium
      • 🔥 network study🔥 N
      • network
      • issue
    • AWS
      • issue
    • LN
      • Go
      • Rust
    • CS
      • network
      • eBPF
      • wasm
    • k-stack
    • 메모
    • 토키워크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istio
  • #Kubernetes
  • #argocd
  • #Calico
  • #k8s
  • #CNI
  • #cilium
  • #Service
  • #eBPF
  • #Network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