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어여오요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아야어여오요

  • 분류 전체보기
    • K8S
      • argocd
      • ecosystem
      • istio
      • cilium
      • 🔥 network study🔥
      • network
      • issue
    • AWS
      • issue
    • LN
      • Go
      • Rust
    • CS
      • network
      • eBPF
      • wasm
    • k-stack
    • 메모
    • 토키워크
  • 홈
  • 태그
  • 방명록
  • github
[네떡스터디🔥kans] AWS - EKS와 AWS LoadBalancer Controller

[네떡스터디🔥kans] AWS - EKS와 AWS LoadBalancer Controller

CloudNet@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KANS 3기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aws에서는 eks의 로드밸런서를 구성하기 위해 aws loadbalancer controller를 제공합니다. 설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NLB로 구성이 되지만 CLB(Classic Loadbalancer) 혹은 ALB(Application LoadBalancer)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설치하기AWS Loadbalancer Controller는 EKS에만 설치할 수 있는 컨트롤러는 아니지만 EKS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IAM 정책 다운로드 및 생성# 정책 다운로드curl -o iam-policy.json https://raw.githubu..

  • format_list_bulleted K8S/🔥 network study🔥
  • · 2024. 11. 2.
  • textsms
Kind에서 Cilium으로 외부 접근 LoadBalancer 설정하기

Kind에서 Cilium으로 외부 접근 LoadBalancer 설정하기

Cilium을 사용하는 경우, Orbstack과 함께 하면 LoadBalancer(LB)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다는 점이 좋긴 하지만, 여러 개의 LB를 생성해서 테스트할 때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Kind로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테스트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Cilium은 공식적으로 Kind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만, 기능이 워낙 다양하다 보니 기본 설정 외에는 구체적인 가이드를 찾기 어렵습니다. 공식문서를 참고해서 클러스터를 생성해보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됩니다.https://docs.cilium.io/en/stable/installation/kind/  테스트 환경 구성 목표기본적으로 IPAM을 통해 대역을 설정하면..

  • format_list_bulleted K8S/cilium
  • · 2024. 10. 13.
  • textsms
Maglev: Google의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Maglev: Google의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Maglev는 Google에서 개발한 로드밸런싱 알고리즘으로, 백엔드 서버 간의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핵심 아이디어Maglev의 핵심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소수 M 크기의 해시 테이블(슬롯)을 만든다.각 백엔드에 대해 “슬롯에 들어갈 순서”를 (offset, skip)으로 계산해시 테이블에 차례로 백엔드를 배정해 나가며, 슬롯이 이미 차 있으면 다음 순서로 건너뛴다. Maglev 동작 상세하게 살펴보기초기 설정 lb에 달려있는 백엔드가 이렇게 3개있고  이렇게 해시 테이블의 사이즈가 7일때  해시 알고리즘 2개를 이용해서 해시 테이블을 구성합니다.  오프셋 계산을 위한 해시 알고리즘 얼마만큼 건너뛸건지를 계산할 해시 알고리즘  이렇게 해서 다음과 같이 먼저 각각의 백엔드 값을 ..

  • format_list_bulleted K8S/cilium
  • · 2024. 10. 3.
  • textsms
[네떡스터디🔥kans] 쿠버네티스 서비스 이해하기 - LoadBalancer(metallb)

[네떡스터디🔥kans] 쿠버네티스 서비스 이해하기 - LoadBalancer(metallb)

CloudNet@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KANS 3기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LoadBalancer 란NodePort는 각 노드의 특정 포트를 통해 외부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지만, 고정된 IP가 없고 포트 범위에 제약이 있어 대규모 서비스나 고가용성이 필요한 경우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LoadBalanc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동으로 로드밸런서를 생성해 고정된 외부 IP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파드에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을 사용하려면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와의 연동이 필요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이 연동이 자동화되어 매우 편리하지만, 온프레미스 환경이나 특정 네트워크 구성..

  • format_list_bulleted K8S/🔥 network study🔥
  • · 2024. 9. 22.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K8S
      • argocd
      • ecosystem
      • istio
      • cilium
      • 🔥 network study🔥
      • network
      • issue
    • AWS
      • issue
    • LN
      • Go
      • Rust
    • CS
      • network
      • eBPF
      • wasm
    • k-stack
    • 메모
    • 토키워크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CNI
  • #k8s
  • #istio
  • #Kubernetes
  • #cilium
  • #eBPF
  • #Network
  • #Calico
  • #Service
  • #mesh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